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정보

ChatGPT로 사람처럼 글쓰기(AI글쓰기 노하우)

by 쇼크라테스^^ 2023. 9. 2.
728x90
728x90
SMALL

 

오늘 이 글을 통해서 'AI가 쓴 글을 사람이 쓴 글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AI가 쓴 글이라고 해서 냉담하고 기계적이어야 하는 건 아니다. 놀라울 정도로 AI도 창의성이나 감정, 그리고 공감까지 표현할 수 있다. 이런 능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같은 곳에 글을 올릴 때 고민하는 것과 비슷하다. 감정과 창의성은 글에 생명을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이걸 ChatGPT에 적용한다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AI가 쓴 글도 약간의 조정을 통해 인간이 쓴 것과 거의 구별할 수 없다고 한다. 이것은 AI의 글쓰기 능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 ChatGPT의 창의성 키우기

ChatGPT의 창의성을 끌어올리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이에 대한 답은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과의 논문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텍스트 생성 알고리즘의 설정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ChatGPT의 설정에서 top-p , tempature, beam-width의  설정을 1에 가깝게 하면 글에 창의적인 요소가 더해진다.  

 

OpenAI의 GPT-3.5나 4의 경우 다음과 같은 Python 코드로 파라미터를 설정하면 변경할 수 있으나, 코드를 잘 모르는 분들은 프롬프트에 그냥  'top-p=숫자, tempature=숫자, beam-width=숫자'를 넣어주면 된다.

 

top-p=1에 가까울 수록

* 장점:  다양한 단어를 생성할 수 있어 문장이 자연스럽고 창의적일 가능성이 높음. 각 단계에서 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선택
* 단점: 때로는 너무나 다양한 단어를 선택하여 문맥이나 일관성을 잃을 수 있음.

 

tempature=1에 가까울수록

* 장점: 낮은 값을 설정하면 일관성 있고 명확한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 높은 값을 설정하면 다양하고 창의적인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
* 단점: 너무 낮은 값은 문장을 단조롭게 만들 수 있음. 너무 높은 값은 문장에서 논리적 일관성을 잃을 수 있음.

 

beam-width=1에 가까울수록

* 장점: 높은 값은 문장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 여러 가능한 후보를 고려하여 더 나은 문장을 생성할 수 있음.
* 단점: 계산 복잡도가 높아져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때로는 너무 "안전한" 단어만을 선택하여 문장이 단조로울 수 있음

 

 

728x90

 

정리해 보면

Top-p, Temperature가 0에 가까울수록: 출력이 더 결정론적이고 예측 가능하다.
Top-p, Temperature가 1에 가까울수록: 출력이 더 다양하고 무작위적이게 된다.
Beam Width가 높을수록: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출력의 다양성은 감소할 수 있다.

 

2. 사람처럼 글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 AI 글쓰기를 사람처럼 쓴 글로 바꾸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많이 제시하는 방법은 chatgpt의 글을 아래의 사이트에 붙여 넣고 수정하고, 다시 복사해서 글에 붙여 넣는 방식이 많이 쓰인다.

 

AI Detector: 이 사이트는 AI가 쓴 글인지 판별할 수 있는 간단한 도구를 제공한다.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먼저 내 글이 AI가 쓴 글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한 글을 다시 붙여 넣고 검사를 해보면 내가 수정한 글이 인공지능이 쓴 글인지 사람이 쓴 글인지 %로 확인할 수 있다. 

 

WriteVector: 이 사이트는 AI가 쓴 글인지 판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더 복잡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또한 내 글을 사람이 쓴 글처럼 바꿀 수 있다.

 

그래서 ChatGPT에서 생성한 글을 AI Detector에서 검사를 한 후, AI가 쓴 글이라고 판별이 되면 WriteVector에서 수정한 후, 다시 AI Detector에서 검사를 하는 과정을 거친다.

 

3. 프롬프트를 이용한 방법(내가 선택한 방법)

'top-p=숫자, tempature=숫자, beam-width=숫자'를 이용한 방법은 내가 숫자를 조정하면서 수정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조금 번거롭고, AI Detector와 WriteVector이용한 방법은 복사, 붙여 넣기 반복의 과정을 거쳐 번거로우므로 나는 프롬프트를 이용해 사람처럼 글을 쓰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프롬프트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아래는 'ChatGPT의 글이 사람이 쓴 것'처럼 만드는 프롬프트의 예이다. 이 프롬프트를 다양하게 조합해서 글을 작성한 후, AI Detector에서 검사를 해본 후 사용한다.

 

프롬프트: "ChatGPT, 주제 X에 대한 기본 정보를 간결하게 300 단어 안으로 요약해 주세요."
프롬프트: "ChatGPT, 주제 X에 대해 나의 경험과 견해를 반영하여 친근한 톤으로 글을 써 주세요."
프롬프트: "ChatGPT, 주제 X에 대해 통계나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신빙성 있게 글을 써 주세요."
프롬프트: "ChatGPT, 주제 X를 다루는 짧은 이야기나 사례를 적어 주세요."
프롬프트:  "ChatGPT, 주제 X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 5개를 만들고, 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해 주세요."

 

이렇게 프롬프트를 이용해 글을 작성한 후, 그래도 글이 어색하면 한 번 더 아래의 프롬프트를 넣고 검증의 과정을 거쳐 수정한다. 

 

[위 글을 아래의 조건에 맞게 바꾸어주세요.

조건 1: AI가 쓴 글이 아닌 사람이 쓴 글로 자연스럽게 바꾸어줘

조건 2: 외국어 순(번역)으로 작성하지 말고, 한국어 어순으로 자연스럽게 한국인이 쓴 것처럼 바꾸어줘.]

 

지금까지 AI(ChatGPT)가 쓴 글을 '사람이 쓴 것처럼 글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GPT가 쓴 글을 그래도 붙여 넣기 하면 편하겠지만, 추후에 똑똑해진 검색엔진이 AI가 쓴 글을 추출하게 되어 나에게 불리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미리 그때를 대비해 위의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728x90
728x90
LIST

댓글